목록IT/윈도우 프로그래밍 (66)
LISTORY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책 관련 유투브 강의 정리이다. 오늘 정리할 내용은 캐쉬와 캐쉬 알고리즘 내용이다. YouTube 주소 : 캐쉬와 캐쉬 알고리즘 캐쉬와 캐쉬 알고리즘 프로그램의 시작과 끝이 있을 때, 프로그램의 흐름은 지역적인 특성을 지닌다. 다시 말하자면 프로그램의 흐름은 산발적으로 실행되지 않는다. 실행하던 그 주변을 연속하여 실행하는 경향이 있다. 이건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의도적으로 산발적으로 짠다 해도 마찬가지이다. 모든 프로그램은 지역적인 특성을 지닌다. 즉, 이 말은 캐쉬가 도움이 된다는 듯이기도 하다. CPU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가 캐쉬에 있을 확률은 90%가 넘는다. 즉, 캐쉬는 크면 클 수록 좋다. 또한, 좋은 프로그램은 지역성이 좋다 캐쉬를 원활히, 아주 ..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책 관련 유투브 강의 내용 정리이다. 이번에 정리할 내용은 메모리 계층 부분이다. YouTube 주소 : 16장. 메모리 계층 메모리 계층 컴퓨터 구조에 대한 마지막 강의이다. 이번 시간에는 메모리 계층에 대해 공부하겠다. 메모리의 종류는 어떤게 있을까? 하드디스크 메인메모리 캐시 레지스터 등 다양하다. 우리는 이 각각의 메모리에 대한 역할을 굉장히 다르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메인메모리는 a기능 있다.하드디스크는 a기능 , b 기능이 있다. 그럼 우리는 메인메모리의 a기능과 하드디스크의 a기능이 아닌, b기능을 비교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들어 하드디스크에 저장 기능이 있고, 이건 비휘발적 특성이 있다. 그럼 사람들은 메인메모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담당하고, 하드..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책의 유투브 강의 내용 정리이다. 이번 시간엔 저번 시간에 이어 쓰레드 풀 부분을 계속해보겠다. YouTube 주소 : 쓰레드 풀의 구현 쓰레드 풀의 구현 ⊙ 쓰레드 풀의 구현 원리 ㅆ 위를 보고 우리가 궁금할 것은 두가지이다. 1. WORK가 뭐고 할당은 어떻게?2. 쓰레드를 어떻게 저장했다가 가져올 것인가 (쓰레드의 관리) 이 두가지만 안다면 실제로 쓰레드 풀을 구현 가능하다. 이 두가지를 하나의 모델로 보여주길 위해 위의 코드를 제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모델에 지나지 않다. 더 좋은 모델도 존재하지만 이번 강의 설명을 위해 간략화한 것이다. 일단 코드를 보자 여기서 WORK는 함수 포인터이다. 즉, 일은 함수로 구현해야 한다. 우리가 할 것은 쓰레드 풀을 ..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책 관련 유투브 강의 정리이다. 오늘 정리할 내용은 쓰레드 풀에 대한 이해 부분이다. YouTube 주소 : 쓰레드 풀에 대한 이해 쓰레드 풀링 이번 시간에 설명할 것은 쓰레드 풀이다. 쓰레드 풀을 알기 위해선 일단 프레임워크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프레임워크란?- 개발자가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하나의 구조물- 프로그램을 이렇게 구현해라 그럼 너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해 주겠다. 개발자는 이렇게 프레임워크에 따라 제공되는 모델로 프로그램을 구현한다. 프레임워크의 예를 들면 J2EE, EJB 등이 있다. 즉, 프레임워크는 하나의 명세이다. 그 명세에 의해 프로그램이 구현이 되었을 때 프레임워크는 다양한 기능이 제공해주는데, 대표적인 것이 쓰레드 풀이다. 개발자..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책 관련 유투브 강의 정리이다. 이번 시간에 정리할 내용은 타이머 기반 동기화 부분이다. YouTube 주소 : 타이머 기반 동기화 타이머 기반 동기화 이번 강의를 통해 타이머와 이벤트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설명하겠다. ⊙ 수동, 자동 리셋 타이머 타이머도 커널 오브젝트이다. 타이머 오브젝트가 알람을 울린다는 것은 타이머 오브젝트가 Signaled 상태가 되었다는 것이다. 즉, 타이머는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Signaled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수동 리셋 타이머는 시간을 정해주면 그냥 Signaled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벤트 : 내가 지정해준 때에 Signaled 상태가 된다.타이머 : 내가 지정해준 시간 뒤에 Signaled 상태가 된다. 자동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