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IT/윈도우 프로그래밍 (66)
LISTORY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책 관련 유투브 강의 정리이다. 오늘 정리할 내용은 MMF(Memory Mapped File) 이다. YouTube 주소 : MMF(Memory Mapped File) MMF(Memory Mapped File) ⊙ MMF 개념 메모리를 파일에 매핑시키겠다는 개념이다. 파일의 일부 메모리 공간을 프로세스의 가상메모리에 연결시킨다. 연결이 일단 되면 프로세스의 가상메모리에 내용을 쓰면 그 위치만큼 이동하여 파일에 데이터를 대신 써준다. 이점은 일단 성능 이슈도 있지만, 프로그램의 편리성에 이슈를 둘 수 있다. 만일 데이터를 sorting 해야 한다고 치면 파일에 있는 데이터를 메인메모리로 불러들여 sorting하고 다시 저장해야한다. 하지만 이 기능을 사용한다면, 데..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책 관련 유투브 강의 정리이다. 오늘 정리할 내용은 메모리 관리 부분이다. YouTube 주소 : 힙 컨트롤 힙(Heap) 컨트롤 가상 메모리 공간을 commit, reserve, free 상태로 둘 수 있었다. 언뜻보면 이를 heap으로 볼 수도 있다. ⊙ 디폴트 힙(Default Heap) & Dynamic Heap 홍길동과 최대수가 다음과 같은 비디오 목록을 빌렸다. 보통 이럴 때, List 자료형을 많이 사용한다. 근데 List 자료형은 자료를 한번에 지울 수 없고, 각각을 일일이 지워주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왜냐면 하나의 Heap안에 홍길동과 최대수를 위한 데이터가 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우리가 알던 heap을 default heap이..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책 관련 유투브 강의 정리이다. 오늘 정리할 내용은 메모리 관리 부분이다. YouTube 주소 : 메모리 관리 메모리 관리 가상 메모리 컨트롤 cpu가 메모리를 보는 관점이나, 프로그래머나 메모리를 보는 관점은 똑같다. 개발할 때 32비트 환경 기준, 4기가의 메모리가 할당된다고 가정한다. 이는 cpu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가상메모리 이고, 가상메모리는 물리메모리에 매핑된다. 가상메모리를 컨트롤 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 가상메모리의 Commit, Free와 물리메모리의 관계 가상메모리는 페이지단위로 나뉘어 진다. 페이지의 크기는 메모리를 페이지 수로 나누면 된다. 4기가의 메모리가 있다? 4기가/페이지 수 그럼 페이지의 크기가 나온다 가상메모리를 관리하는 것..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책 관련 유투브 강의이다. 지난 시간에 이어 파일 I/O와 디렉터리 컨트롤 부분을 계속하겠다. YouTube 주소 : 파일 I/O와 디렉터리 컨트롤(2) 파일 I/O와 디렉터리 컨트롤 파일 관련 기본 함수들 파일 생성 : CreateFile입력 및 출력 : ReadFile, WriteFile파일 종료 : CloseHandle 파일 종료 시, CloseHandle 함수 호출해야 한다는 것은 파일 또한 커널에서 관리한다는 리소스라는 뜻이다. 파일 생성해도 커널 오브젝트 생성, 해당 커널 오브젝트의 Handle 반환 된다. 파일의 어디까지 읽었는지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포인터만해도 커널 오브젝트에 의해 관리된다. 파일 정보 얻어오기 GetFileTime- 만든 날짜,..
뇌를 자극하는 윈도우즈 시스템 프로그래밍 책 관련 유투브 강의 정리이다. 오늘 정리할 내용은 파일 I/O와 디렉터리 컨트롤 부분이다. YouTube 주소 : 파일 I/O와 디렉터리 컨트롤 파일 I/O와 디렉터리 컨트롤 어느새 18장이다. 18장은 레퍼런스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많다. 그러므로 하나하나 함수에 대해 설명하지는 않겠다. ⊙ ANSIANSI는 파일 관련(파일 I/O)된 함수들을 제공해준다.사실 여기서는 제공해주는게 아니라 정의하고 있다는 것이 맞는 표현일 것이다. 실제로 파일 I/O 관련된 ANSI 표준 함수를 쓸 경우, 플랫폼에 관계없이 파일이 생성되고 기타 등등 파일 I/O작업을 할 수 있다. 구성하는 방법기본적으로 하드웨어가 하나 있고, 이 하드웨어에 윈도우즈, 리눅스, 유닉스 등을 깔 ..